▲ 17일 권익현(오른쪽에서 두 번째) 전북 부안군수가 청사 3층 중회의실에서 최연곤(오른쪽) 산업건설국장이 배석한 가운데 (유)부안터미널 김종국(왼쪽에서 두 번째) 대표와 1947년에 준공돼 시설이 낡고 공간이 비좁은 부안터미널 신축에 관련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 = 부안군청 기획감사실 최광배 © 이한신 기자 |
|
전북 부안 시외버스터미널이 48년 만에 철거돼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현 부지에 새롭게 신축된다.
부안군은 17일 (유)부안터미널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부안군은 봉덕리 579-6번지 일원에 조성될 시외버스터미널 신축에 따른 행ㆍ재정적 지원을 담당하고 (유)부안터미널은 사업부지내 토지 매입 및 교환 절차를 거쳐 설계가 완료되면 곧바로 착공해 오는 8월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지상 2층 규모로 신축될 시외버스터미널은 주변지역 종합 정비사업인 복합 커뮤니센터와 별도로 1층은 대합실ㆍ운수시설ㆍ문화공간 2층에는 상가와 근린생활시설이 갖춰진다.
특히 현재 양방향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진ㆍ출입로가 변경된다.
진입로는 현재와 동일하지만 출구는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서쪽 방향으로 변경되고 인근 부지에 터미널 이용객들의 편익을 위해 주차공간이 조성된다.
시외버스터미널은 1974년 건립돼 시설이 낡고 공간이 비좁아 이용객들의 불편과 안전사고 우려 및 도심지 미관 저해 등이 지적됐지만 사업부지내 토지 소유자의 이해관계와 불법 건축물 난립으로 신축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군민과 관광객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새롭게 신축될 시외버스터미널은 복합기능을 갖춘 건축물로 교통ㆍ문화ㆍ상권의 허브로 육성하고 복합 커뮤니센터와 연계해 머무는 터미널로 조성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시재생 인정 사업으로 선정된 '복합 커뮤니센터'는 새롭게 신축된 시외버스터미널 주변에 69억여원을 투입 ▲ 상생협력 상가 ▲ 복합 문화공간 ▲ 청소년 동아리 활동 공간 ▲ 작은 영화관 등 지상 3층 연면적 2,600㎡ 규모로 오는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an Intercity Bus Terminal, 'new construction' on the current site
2nd floor… Expected to be completed in August / Separation of access road / parking space, etc.
Reporter Lee Han-shin
Jeollabuk-do Buan Intercity Bus Terminal has been demolished for the first time in 48 years, disappearing into history and newly built on the current site.
Buan-gun signed a business agreement with (U) Buan Terminal on the 17th based on these contents.
According to the agreement, Buan-gun will b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city bus terminal to be built around 579-6 Bongdeok-ri, and construction of the (yu) Buan Terminal will begin immediately after the design is completed through the land purchase and exchange procedures within the business site. It is planned to be completed by August.
The intercity bus terminal, which will be built with two stories above the ground, will be equipped with a waiting room,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cultural space on the first floor, separate from the complex community center, which is a comprehensive maintenance project in the surrounding area, and shopping malls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on the second floor.
In particular, the entry/exit route, which is currently operated in a two-way format, will be changed.
The access road is the same as the current one, but the exit is changed to the west to alleviate traffic inconvenience, and a parking space is created on a nearby site for the convenience of terminal users.
Since the intercity bus terminal was established in 1974, the facilities were old and cramped, so there were concerns about inconvenience, safety accidents, and deterioration of the city's aesthetics.
Kwon Ik-hyeon, Mayor of Buan-gun, said, "It has become more convenient for citizens and tourists to use." "The new intercity bus terminal to be built is a building with complex functions, and it will be fostered as a hub for transportation, culture, and commercial districts, and a terminal to stay in connection with the complex community center. We will spare no effort to provide all support so that it can become a
Meanwhile, the 'Community Center', which was selected as an urban regeneration accreditation project, invests KRW 6.9 billion around the newly built intercity bus terminal ▲ Win-win shopping mall ▲ Complex cultural space ▲ Youth club activity space ▲ Small cinema with a total floor area of 3 floors of 2,600 It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December of this coming Dec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