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연/전시
'제27회 정읍의 미, 정읍미술전' 성료
서예ㆍ문인화ㆍ서각 동호인 모임… 정읍서화회 주최
기사입력: 2023/12/01 [10:12]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심현지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서예ㆍ문인화ㆍ서각 동호인 모임인 전북 정읍서화회의 '2023 제27회 정읍의 미, 정읍미술전'이 지난달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신태인 생활문화센터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 사진제공 = 정읍서화회   © 심현지 기자



 

 

전북 정읍서화회의 '2023 27회 정읍의 미, 정읍미술전'이 지난달 25일부터 121일까지 신태인 생활문화센터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전시는 서예ㆍ문인화ㆍ서각 동호인 모임인 정읍서화회 회원전으로 마련됐으며 서예가 지암(止庵) 류승훈 선생을 비롯 전문 작가들의 서예 51점ㆍ문인화 23점ㆍ서각 13점 등 총 87점의 개성 넘치는 주옥같은 작품들이 전시됐다.

 

특히 중산 권진기 작가의 칠언절구의 시 '만리를 불어온 바람도 산을 움직이지 못하고(萬里風来山不動), 천 년 동안 물이 쌓여도 바다는 넘치지 않네(千年水積海無量)' 철암 김형우 작가의 '가득 차도 넘치지 않고 덜어내도 마르지 않는(滿不溢酌不竭)' 수당 김경순 작가의 '봄날 수종사를 유람하다(春日遊水鍾寺)' 등 다산 정약용의 시를 서예 작품으로 담은 작품 등 다양한 작품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탄성이 쏟아졌다.

 

지암 류승훈 작가는 '정읍 희망가'를 명제로 "호남의 풍악인 영은산(내장산)의 단풍은 붉을데로 붉었는데~!(湖南楓岳靈隱紅) 입암산성 충혼의 역사는 처연하구나~!(笠巖山城忠魂史), 인심은 순후하고 어질고 후덕한 고장이니(人心淳厚德仁鄕) 일취월장(밤낮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정읍의 희망가여~!(就將井邑希望歌)"라는 작품을 전서와 예서체로 표현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부여잡았다.

 

, 올해로 51년째 외길 서예인의 삶을 고집하는 류승훈 작가는 하루도 벼루 곁을 떠나지 않는 것을 삶의 최대 덕목으로 알고 살아 왔던(硯側不離最德目) 서예인답게 진득한 고향 사랑을 표현한 한시를 서예의 전서체와 예서체로 담아냈다.

 

한편 '2023 27회 정읍의 미, 정읍미술전'은 동방문화대학교 이영철 석좌교수의 '서예의 길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기념 특강으로 막을 열었다.

 

전시ㆍ강연ㆍ공연 등의 공간인 '생활문화센터'는 옛 정읍ㆍ신태인 구 도정공장의 드넓은 창고를 생활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꾸민 곳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인 대주주가 인근 농장에서 수확한 벼를 저장하던 창고였다.

 

1928년에 건립된 이 건축물은 외부를 견고한 붉은 벽돌로 쌓아 현재까지도 그 원형이 남아있으며 정읍시가 내부를 문화공간으로 꾸몄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27th Jeongeup Beauty, Jeongeup Art Exhibition' successfully completed

A gathering of calligraphy, literary painting, and calligraphy enthusiastsHosted by Jeongeup Calligraphy and Painting Association

 

Reporter Shim Hyun-ji

 

Jeonbuk Jeongeup Calligraphy and Painting Association's '2023 27th Jeongeup Beauty, Jeongeup Art Exhibition' was successfully held at the Shintaein Living Culture Center from the 25th of last month to December 1st.

 

This exhibition was prepared as a member exhibition of the Jeongeup Calligraphy and Painting Society, a group of calligraphy, literary painting, and calligraphy enthusiasts, and features a total of 87 unique gems, including 51 calligraphy, 23 literary painting, and 13 calligraphy by calligrapher Jiam Ryu Seung-hoon and other professional artists. The same works were exhibited.

 

In particular, Jungsan Kwon Jin-gi's seven-character poem, 'Even the wind that blows ten thousand miles cannot move the mountains, and even if water piles up for a thousand years, the sea does not overflow' Dasan Jeong Yak-yong's poems are used as calligraphy works, such as 'Won't overflow even when full and don't dry up when taken out(滿不溢酌不竭)' by Cheoram Kim Hyeong-woo 'A Tour of Sujongsa Temple on a Spring Day' by Sudang Kim Gyeong-sun. A variety of works, including those written by the artist, were on display, eliciting gasps from visitors.

 

Writer Jiam Ryu Seung-hoon wrote 'Jeongeup Hope Song' as his thesis, "The autumn leaves of Yeongeun Mountain (Naejang Mountain), the famous music of the Honam region, were as red as they were~!(湖南楓岳靈隱紅) The history of loyalty at Ipam Mountain Fortress is sad~!() A work titled "巖山城忠魂史", "It is a place where people are kind, noble, and virtuous"(Ilchwiwoljang, "Hope for Jeongeup that changes and develops day and night!") Expressed in traditional calligraphy, it captured the attention of visitors.

 

In addition, writer Ryu Seung-hoon, who has been insisting on living the life of a single-minded calligrapher for 51 years now, has written a Chinese poem expressing his deep love for his hometown, as befits a calligrapher who has lived his life knowing that the greatest virtue in life is not leaving the inkstone even for a day. It was written in both traditional and traditional calligraphy fonts.

 

Meanwhile, the '2023 27th Jeongeup Beauty, Jeongeup Art Exhibition' opened with a commemorative special lecture on 'How should we advance the path of calligraphy?' by Professor Lee Young-cheol of Dongbang Culture University.

 

The 'Living Culture Center', a space for exhibitions, lectures, and performances, is a place where the spacious warehouse of the old Jeongeup and Shintaein rice mills has been renovated into a living culture sp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Japanese shareholders used to store rice harvested from nearby farms. It was a warehouse.

 

This building, built in 1928, is made of solid red brick on the outside, and its original form still remains to this day, and Jeongeup City has decorated the interior as a cultural space.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군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