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봉덕리 고분군 3호분 '마한 최대' 분구묘
2차 발굴조사 현장공개… 동-서 약 70mㆍ남-북 약 80m
기사입력: 2024/10/30 [09:30]  최종편집: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김종진 기자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고창군 봉덕리 고분군 3호분 발굴조사 결과, 규모는 동-서 약 70mㆍ남-북 약 80m로 마한의 분구묘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발굴조사 유구분포도) / 사진제공 = 고창군청  © 김현종 기자

  

▲ 심덕섭 고창군수가 지난 29일 봉덕리 3호분 발굴 현장설명회에서 "이번 봉덕리 고분군 3호분의 2차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 최대 분구묘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사적' 확대 지정을 위한 노력 및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 역사문화 환경 정비육성 선도 사업 공모 선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 사진제공 = 고창군청   © 김현종 기자




 

 

전북자치도 고창군 봉덕리 고분군 3호분 발굴조사 결과, 마한의 분구묘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창군은 지난 292024년 역사문화권 중요유적 발굴조사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된 '고창 봉덕리 고분군 3호분 2차 발굴조사성과를 공개했다.

 

발굴조사는 지난 2019년 분정부(墳頂部)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으로 총 6차례에 걸쳐 시굴 및 발굴조사가 진행된 가운데 3호분의 규모는 동-서 약 70m-북 약 80m.

 

이번 2차 발굴조사는 3호분의 축조 방법 및 시기 매장주체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남쪽사면부를 대상으로 진행해 분구의 축조기술통나무관옹관묘주거지 등을 확인했다.

 

특히 2차례 이상 분구를 축조했던 것이 확인됐다.

 

1차 분구는 기원후 3~4세기를 전후한 시점으로 자연 구릉에 낮은 분구묘로 확인됐으며 내부에는 토광묘 및 옹관묘 등을 매장했고 도랑(周溝)을 굴착했다.

 

2차 분구는 5세기 중후반을 기점으로 고분을 높게 쌓았는데 분구의 중앙을 격자망으로 회백색흑갈색의 점토 덩어리로 구획해 쌓은 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됐다.

 

분구는 약 2.5~3m 내외의 폭으로 격자망 구획을 한 다음 점토덩어리를 구획 경계로 삼았고 약 4m 내외로 수직으로 쌓아 올려 대형의 고분을 축조했다.

 

둘레는 도랑(周溝)을 굴착해 고분의 경계로 했고 분구 끝자락에는 토기 1~3점씩 매납한 것이 확인됐다.

 

봉덕리 고분군 3호분의 1차 분구 축조 시기는 토광묘에서 출토된 이중구연호양이부호 등의 토기를 볼 때 기원후 3~4세기로 판단됐다.

 

2차 분구 축조 시기는 성토과정에서 확인된 토기편과 주구 안쪽에서 매납된 호형토기 및 장경호 등을 통해 기원후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3호분의 발굴조사 결과, 분구가 거대화되는 과정에서 무덤방은 확인되지 않았다.

 

1호분의 성과와 함께 마한 분구묘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3호분의 운영 기간 등으로 살펴보면, 마한 50여 소국 가운데 '모로비리국'의 중심 세력 묘역이 분명한 것으로 분석됐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이번 봉덕리 고분군 3호분의 2차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 최대 분구묘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사적' 확대 지정을 위한 노력 및 국가유산청 역사문화권 역사문화 환경 정비육성 선도 사업 공모 선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omb No. 3 of Bongdeok-ri Ancient Tombs, Gochang, 'Mahan's LargestTomb

2nd excavation site revealedEast-West approx. 70m, South-North approx. 80m

 

Reporter Kim Jong-jin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of Tomb No. 3 in the Bongdeok-ri Ancient Tombs, Gochang-gun, Jeollabuk-d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the largest among Mahan's tombs.

 

On the 29th, Gochang-gun disclosed the results of the '2nd excavation survey of Tomb No. 3 in Bongdeok-ri Ancient Tombs, Gochang',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2024 excavation support project for important historic and cultural sites.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 total of 6 times, starting with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of the burial mound in 2019, and the size of Tomb No. 3 is about 70m east-west and 80m south-north.

 

This second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outhern slope to confirm the construction method and period of Tomb No. 3 and the burial site, and confirme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log coffin, pot tomb, and residential area of ​​the tomb.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und was built more than twice.

 

The first mound was identified as a low burial mound on a natural hill around the 3rd to 4th century AD. Inside, earthen tombs and pot tombs were buried, and a ditch was excavated.

 

The second mound was built high starting from the mid-to-late 5th century, and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center of the mound was divided into blocks of gray-white and black-brown clay using a grid.

 

The mound was divided into grids with a width of approximately 2.5 to 3 meters, and then clay lumps were used as partition boundaries and stacked vertically to a width of approximately 4 meters to construct a large tomb.

 

A ditch was excavated around the perimeter to serve as the boundary of the tomb, and it was confirmed that 1 to 3 pieces of pottery were buried at the end of the mound.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the first mound in Tomb No. 3 of the Bongdeok-ri Ancient Tombs was judged to be around the 3rd to 4th century AD, based on the pottery with double Guyeonho and Yangibuho excavated from the earthen tomb.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the second mound is estimated to be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AD based on the pottery fragments identified during the embankment process, the arc-shaped pottery buried inside the mound, and the janggyeongho.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of Tomb No. 3, the tomb chamber was not identified as the tomb became larger.

 

Looking at the performance of Tomb No. 1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omb No. 3, the largest of the Mahan tombs, it was analyzed that it was clearly the tomb of the central power of the 'Moro Biri State' among the 50 small states of Mahan.

 

Gochang County Governor Shim Deok-seop said, "Through the second excavation of Tomb No. 3 of the Bongdeok-ri Ancient Tomb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true nature of Mahan’s largest burial mound,adding, "We are leading efforts to expand the designation as a 'historic siteand fostering the maintenanc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zone."We will do our best to be selected for the business contest,he said.

<ⓒ 브레이크뉴스 전북 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창군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
많이 본 뉴스